본문 바로가기
  • Real Music

음악3

음악을 만드는 사람들 음악을 만드는 사람들 우리가 단순하게 듣는 일반적인 음악에는 정말 많은 작업이 필요하고 많은 사람들이 애 쓰고 있습니다. 일반 대중 가요같은 경우, 가장 주목과 인기를 받는 보컬부터 시작해서, 연주인과 작곡자, 편곡자, 작사자, 레코딩 엔지니어, 믹스 엔지니어, 마스터링 엔지니어 등등... 많은 사람들이 하나의 음악을 만들기 위해 그 과정 하나하나에서 마치 다이아몬드 원석을 세공하듯 자신들의 역할을 가지고 세심하게 만들어 나갑니다. 오늘 이 글은 바로 이 음악을 만드는 사람들 중에, A&R과 Recording Engineer, Mix Engineer, Matering Engineer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음악을 완성해 나가는 과정에서의 그들의 역할과 각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2012. 6. 19.
모니터 스피커 고르기 이번엔 모니터 스피커에 대해서 올려볼까 합니다. 모쪼록 스피커 고르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많은 미디 장비들 중에서 가장 고르기 어려운 것이 모니터 스피커 아닐까 합니다. 사실, 개인적으로 홈레코딩에서 믹싱과 마스터링까지 생각하신다면 가장 신경 쓰셔야 할 부분이 룸 셋팅이며, 이와 함께 모니터 스피커를 잘 고르는 일이 매우 중요합니다. 첫번째로, 모니터 스피커와 일반 스피커의 차이를 알아 두시는게 좋습니다. 일반 스피커를 고르실 때는 듣기 좋은 녀석 을 고르시는게 좋지만, 모니터 스피커를 고르실 때는 얼마나 평탄하고 중립적.. 2012. 3. 23.
발성법과 발성책 소개 기본적으로 노래를 배우게 되면 발성을 먼저 떠올리게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호흡 역시 발성 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일단 발성에 대해 먼저 설명해 보겠습니다. 위의 사진을 보시는 것과 같이, 우리의 신체는 참 복잡합니다. 일반적으로 소리가 어디를 통해서 어떻게 나는지를 여러분은 외우고 다닐 필요가 없습니다. 대략적으로 어떻게 소리가 나는지에 대해서는 발성에 관한 서적이나, 성악에 관한 서적을 한번쯤 보고 "아, 이렇게 소리가 나는구나..." 정도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그것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은, 소리를 낼 때의 자신의 몸 상태입니다. 보통 레슨을 하면서 "성대 2번 근육을 당기고, 3번근육은 릴렉스하게..." 라는 말은 절대 하지 않습니다. 기계나 사물이 아니기 때문에, 전적으로 느낌에 의존한 얘.. 2012. 3. 23.